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바생 주목! 최저임금 인상, 내 시급은 얼마나 오를까?

by boriy 2025. 7. 12.
반응형

전국의 모든 아르바이트생 여러분! 매년 최저임금 결정 소식은 가장 귀가 쫑긋해지는 뉴스가 아닐까 싶습니다. 2025년 7월 11일, 드디어 2026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그래서 내 시급은 얼마나 오르는 건데?" 하는 궁금증이 가장 크실 텐데요. 오늘은 2026년 최저임금 인상이 여러분의 시급과 월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아르바이트생들이 꼭 알아야 할 최저임금 관련 정보를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1. 2026년 최저임금, 정확히 얼마?

시간급: 10,320원 (2025년 10,030원 대비 2.9% 인상)

 

일급 (8시간 기준): 82,560원 (10,320원 x 8시간)

 

월급 (주 40시간, 월 209시간 기준): 2,156,880원 (10,320원 x 209시간)

 

주목! 여기서 209시간은 주 40시간 근무에 주휴수당 8시간을 포함한 시간입니다. 4대 보험 공제 전 금액이니, 실제 수령액은 이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2. 내 시급, 이렇게 계산해 보자!

만약 여러분이 현재 시급 10,030원을 받고 있다면, 2026년부터는 시급이 290원 오르게 됩니다. 하루 8시간 일한다면 일급이 2,320원 더 많아지는 셈이죠.

 

예시 1: 하루 5시간, 주 5일 아르바이트 (주 25시간)인 경우

 

2025년: (10,030원 x 25시간) + 주휴수당 (10,030원 x 5시간) = 300,900원 (주급)

 

2026년: (10,320원 x 25시간) + 주휴수당 (10,320원 x 5시간) = 309,600원 (주급)

-> 주급 8,700원 인상!

 

예시 2: 하루 8시간, 주 5일 아르바이트 (주 40시간)인 경우

 

2025년: 월 2,096,270원

 

2026년: 월 2,156,880원

-> 월급 60,610원 인상!

 

3. 알바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최저임금 관련 권리!

최저임금 인상과 함께 여러분의 권리도 제대로 챙겨야 합니다.

 

주휴수당: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했다면 유급 주휴일(보통 일요일)에 해당하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계산 시 월 209시간에 주휴수당이 포함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야간근로수당: 밤 10시부터 새벽 6시까지 일하는 경우,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하여 받아야 합니다.

 

연장근로수당: 하루 8시간 또는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일하는 경우,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하여 받아야 합니다.

 

퇴직금: 1년 이상 계속 근로하고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 퇴직 시 퇴직금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임금명세서: 2021년 11월 19일부터 사업주는 노동자에게 임금명세서를 반드시 교부해야 합니다. 이곳에 시급, 총 지급액, 공제 내역 등이 자세히 명시되어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4. 최저임금보다 적게 받았다면?

만약 사업주가 최저임금보다 적은 임금을 지급했다면, 이는 최저임금법 위반입니다.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에 신고하거나, 노동청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밀린 임금과 함께 처벌을 요구할 수도 있으니, 꼭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세요.

 

2026년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아르바이트생 여러분의 삶이 조금 더 나아지기를 기대합니다. 자신의 시급을 정확히 확인하고, 정당한 권리를 모두 누리며 쾌적한 아르바이트 생활을 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