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모든 아르바이트생 여러분! 매년 최저임금 결정 소식은 가장 귀가 쫑긋해지는 뉴스가 아닐까 싶습니다. 2025년 7월 11일, 드디어 2026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그래서 내 시급은 얼마나 오르는 건데?" 하는 궁금증이 가장 크실 텐데요. 오늘은 2026년 최저임금 인상이 여러분의 시급과 월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아르바이트생들이 꼭 알아야 할 최저임금 관련 정보를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1. 2026년 최저임금, 정확히 얼마?
시간급: 10,320원 (2025년 10,030원 대비 2.9% 인상)
일급 (8시간 기준): 82,560원 (10,320원 x 8시간)
월급 (주 40시간, 월 209시간 기준): 2,156,880원 (10,320원 x 209시간)
주목! 여기서 209시간은 주 40시간 근무에 주휴수당 8시간을 포함한 시간입니다. 4대 보험 공제 전 금액이니, 실제 수령액은 이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2. 내 시급, 이렇게 계산해 보자!
만약 여러분이 현재 시급 10,030원을 받고 있다면, 2026년부터는 시급이 290원 오르게 됩니다. 하루 8시간 일한다면 일급이 2,320원 더 많아지는 셈이죠.
예시 1: 하루 5시간, 주 5일 아르바이트 (주 25시간)인 경우
2025년: (10,030원 x 25시간) + 주휴수당 (10,030원 x 5시간) = 300,900원 (주급)
2026년: (10,320원 x 25시간) + 주휴수당 (10,320원 x 5시간) = 309,600원 (주급)
-> 주급 8,700원 인상!
예시 2: 하루 8시간, 주 5일 아르바이트 (주 40시간)인 경우
2025년: 월 2,096,270원
2026년: 월 2,156,880원
-> 월급 60,610원 인상!
3. 알바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최저임금 관련 권리!
최저임금 인상과 함께 여러분의 권리도 제대로 챙겨야 합니다.
주휴수당: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했다면 유급 주휴일(보통 일요일)에 해당하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계산 시 월 209시간에 주휴수당이 포함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야간근로수당: 밤 10시부터 새벽 6시까지 일하는 경우,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하여 받아야 합니다.
연장근로수당: 하루 8시간 또는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일하는 경우,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하여 받아야 합니다.
퇴직금: 1년 이상 계속 근로하고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 퇴직 시 퇴직금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임금명세서: 2021년 11월 19일부터 사업주는 노동자에게 임금명세서를 반드시 교부해야 합니다. 이곳에 시급, 총 지급액, 공제 내역 등이 자세히 명시되어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4. 최저임금보다 적게 받았다면?
만약 사업주가 최저임금보다 적은 임금을 지급했다면, 이는 최저임금법 위반입니다.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에 신고하거나, 노동청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밀린 임금과 함께 처벌을 요구할 수도 있으니, 꼭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세요.
2026년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아르바이트생 여러분의 삶이 조금 더 나아지기를 기대합니다. 자신의 시급을 정확히 확인하고, 정당한 권리를 모두 누리며 쾌적한 아르바이트 생활을 하시길 바랍니다!